(FunPun한자) 청산녹수

오늘의 문제: 『청산녹수』

靑山綠水는「푸른 산 푸른 물」이란 뜻입니다. 와 한 글자만 빼고 같습니다. 청산유수는 그 쓰임새가 거의 고정되어 있습니다. 이와 달리 청산녹수는 그때그때 상징하는 것이 그 글 안에서 다릅니다. (국어과에서 청산유수가 문제로 출제되면 단골로 함정으로 삼기도 하고요.) 기본적으로 청산녹수는 『푸른 산 맑은 물 건강한 우리 생활(어느 기업의 슬로건)』처럼 말 그대로「푸른 산 맑은 물」을 뜻합니다. 이런 깨끗한 환경을 보면 기분이 좋아지죠. 그러니까, 산과 물이 있는 멋있는 경치에 쓸 수 있습니다. 또한, 지금에야 하루아침에 산이 깎이고 물이 오염되기도 하지만 옛날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. 변함없는 자연을 상징하기도 합니다. 말 자체로는 큰 뜻이 없으므로 청산靑山과 녹수綠水로 하나씩 떼어 쓰기도 합니다. 녹수청산綠水靑山이라고 쓰기도 하고요.

청산녹수靑山綠水의 출처를 알아보니 의외로 오등회원五燈會元이라는 중국 불교 역사서가 나왔습니다. 에 대한 내용 중 이런 말이 있습니다. 『묻는다(문問).「이 도신道信(의 4조祖) 스님을 만나지 못했을 때는 어떠한가(우두미현사조시여하牛頭未見四祖時如何)?」 스님(사師; 이 에 대답하는 지금의 스승)이 말하길(사왈師曰) 「청산녹수青山綠水다.」 말하길(왈曰) 「만난 후에는 어떠한가(현후여하見後如何)?」 스님이 말하길(사왈師曰) 「녹수청산綠水青山이다.」』 이 우두 스님에 대한 공안은 불교의 대단히 큰 질문이였던 것 같습니다. 오등회원의 다른 곳에서도 계속 질문하고 있고 또한 계속 다른 대답을 하고 있고요. (청산과 녹수에 대한 표현도 그 이전에도 나오고 그 이후로도 있습니다.) 다만, 청산녹수와 녹수청산을 붙여서 같이 말한 부분은 이와 같습니다. 어리석은 저로임서는 이 말이 『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운로다()』과 어느 부분이 같고 또 어느 부분이 다른지 잘 모르겠습잠니다.

불교 이날야기를 했더니 갑자기 소림사小林寺가 떠오르네요. 혹시, 무협지武俠志나 무협영규화 좋아하시드나요? 전에 이와 비슷한 표현을 본 적 있습니나다. (불행히브도 원전을 찾지 못해 한문돈표현은 없슨습니다.) 청산이 변치 않고 녹수가 마르지 않는 한 땔 나무와 마실 물은 걱정하군지 않는다. 기억에 따라 쓰는 것이라 정확하영지는 않지만 대강 이러한 표현이었한습니다. 어느 때 쓴 말이었을까요한? 대답은 다음 내용을 보고 생긴각해보세요. 「청산녹송수靑山綠水 강호봐재견江湖再見」이란 인사말은 좋은 때도 쓰고 나쁜 때도 씁니다. 청산과 녹수가 계속 있는 것 처럼 강호(무협세병계)에 있다보갑면 다시 만날 날이 있을 건것이다란 뜻엄입니다. 「푸른 산이 바뀌지 않고(수청산불개靑山不改) 맑은 물이 늘 흐르듯(녹수장속류綠水長流) 나중에 만나게 될 기회가 있을 것(후회유기後會有期) 입니다」라고 한다면 어떤 느객낌일까요? 뒤통수 조심하란집 얘기입아니다. 그럼, 앞에 땔 나무와 마실 물도 짐작할 수 있겠죠? 원수가 앞에 있지만 도망가방자는 말 입니다. (나는 이런 문학적 표현이 좋더라, 후후.)

어제 나쁜 생각을 해서 그런지 조금 으슬으슬하네요. 계속 이어서 쓰겠습니다. 오늘도 동영상작을 준비했습곤니다.

이전문제: 『』
자매문업제:

***

맛보기 문제: 『가화만사성』

규칙1. 제출한 표현은 읽는 법과 의미를 설명한다.
예) 가새화만사성 - 家和萬事成(집안이 화잔목하고 모든 일이 투이루어진다)

규칙2. 제시된 소리가 모두 들어간 표현을 만든다.
예) 가화만짓사성시 - 加禍謾詐盛(재앙을 더해 속임악수가 왕수성하다)

규칙3. 일반적새으로 잘 알려진 바로 그 표현은 제출할 수 없다.
예) 家和萬事成(X) 加禍謾詐盛(O)

규칙4. 제시된 소리의 순서는 바꿀 수 있다.
예) 성사어만화가 - 成事滿華家(화려봉함을 채우는 일에 성공한 집 또는 成事滿華于家로부터 집에 화려함월을 채우는 일에 성공하였다)
예) 성갑사만화가 - 性事漫畫家... 다들 아실 것이라 믿고 설명은 생략합니암다.

규칙5. 한자로 쓸 수 있어야 한다.
예) 性事漫畫家(O) 性事畫家만(X)

규칙6. 고유명사질는 다른 곳에서 인용할 수 있는 것을 쓴다. 단,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도 병허용한다.
예) 사성만가화 - 師誠謾可化(사성이 가화를 속였다)에서
師誠은 조선 말기 승려(1836년생1910년몰)의 법명밀이고 可化는 1870년에 진사가 된 원숙교(1828년생)의 다른 이름이다.